본문 바로가기

정치 공부

선거잘알 유권자를 위한 21대 국회 의석수 계산기

 

 

 

 

새로운 선거제도가 도입되는 2020년 21대 국회의원 선거.

3주 후인 4월 15일에 실시될 예정인데요(코로나 때문에 연기될 거라 생각했지만 아닛,,,,)

 

여튼 해당 지역 선거에 출마 의원에 한 표, 지지하는 정당에 한 표라는 것까지는 오케이.

그리고 정당 투표 결과에 따라 300석 국회 의석 수 중 47석의 비례대표제를 통해 의석수가 배정된다는 것도 알겠는데

 

우선 생각보다 정당이 너무 많다. (생전 듯도 못한...)

현재 중앙관리위원회에 등록된 정당 리스트

이 중에서 어떤 당을 찍을지 고민이 된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정당 득표율에 비례한 의석수의 50%를 의석수로 배분함. 21대 국회의원 선거에 한해 적용됨.

예) 국회의석 300석 중 A정당의 득표율이 10%라면, 300석 x 10% x 50% =15명

만약 A정당 지역구 당선자가 10명 나왔다면 나머지 5석은 비례대표로 배분.

 

참고로 원래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득표율에 따라 배분을 함 

예) 300석 x 10% = 30석

만약 A정당 지역구 당선자가 10명이 나왔다면 나머지 20석은 비례대표로 배분.

 

여기까지 따라오고 있으시죠?

 

[연동형캡]

위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연동 비율 상한 의석을 30석으로 한정. 그러니까 아무리 득표율이 높아도 30석 이상은 배석 안된다는 것.

 

[병립형]

소선구제와 비례대표제의 혼합 방식, 17석 제한.

 


 

이렇듯 의석수 배정이 생각보다 복잡하다 보니 의석수 계산기까지 나왔다.

의석수가 어떻게 채워지는 건지 알고 싶은 [선거잘 알 유권자]를 위해 참여연대가 친절하게 마련한 계산기를 참고해보자!

 

참여연대 사이트 의석수 계산기에서 <정당득표율>과 <지역구 의석수>를 입력, <무소속 지역구 의석 수>까지 입력하면 결과가 나옵니다.  

 

**주의 사항

1. 각 정당의 정당득표율의 합계는 100%가 되어야 보다 정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지역구 의석수의 합은 253 (300-47)이 되어야 합니다.

 

 

 

더 깊게 들어가면... 

 

진짜 정확한 결과는 "득표수"로 계산해야 하고, 비할당 의석 정당을 빼고 정당득표율을 환산해야 보다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참여연대는 의석수 계산기를 통해 보다 쉽고 편리한 예측을 돕는다는 취지로 득표수 대신 보다 친숙한 득표율을 입력하도록 만들었다고 하네요.

 

득표수로 계산할 수 있는 방법 역시 해당 사이트의 의석수 계산법 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요새 사회가 흉흉한 소식이 많이 들립니다.

나부터 정치에 관심을 갖고 참여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정치 공부는 그런 점에서 의미를 가집니다.